본문 바로가기

나온테크

토종 반도체 로봇 기술력 선보인 (주)나온테크 (주)나온테크 김원경 대표이사 Q. (주)나온테크(이하 나온테크)의 반도체 로봇 관련 사업에 대한 소개.A. 나온테크는 오랫동안 반도체 로봇과 자동화 모듈을 개발, 공급해왔다. 반도체용 진공로봇과 EFEM 및 Backbone의 신뢰성을 양산라인에서 검증 완료하여 다수의 시스템을 양산 라인에 공급하여왔고, 2014년부터 본격적인 적용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Q. 진공로봇 분야에서 특히 강점을 보이고 있다. 어떠한 기술적 강점을 보유하고 있나.A. 단순 진공상태에서의 이송 가능 유무를 넘어 나온테크만의 확실한 경쟁력을 보유할 필요성이 있었다. 당사는 링크방식을 적용한 콤팩트한 사이즈와 고온상태의 대응 능력이 뛰어나다. 기존의 대기환경에서 사용되는 벨트방식이 진공환경에 적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한계를 구.. 더보기
준비된 반도체 로봇기업은 “웃을 날 남았다” 반도체는 자동차와 더불어 ‘대한민국 대표산업’하면 꼭 손에 꼽히는 분야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굴지의 반도체 제조사가 포진되어 있기에 반도체 장비 및 반도체 로봇기업들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이기도 하다. 본문에서는 반도체 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와 더불어 최근 기술 및 시장 동향, 이에 따른 로봇기업들의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과거 1965년 고미전자산업 설립과 함께 시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이 꼭 반세기만인 2015년 현재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올라섰다. 반도체란 빛, 열 또는 불순물을 가했을 때 전기가 통하고, 이를 조절함으로써 전기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와 정보 저장 없이 연산, 제어기능을 .. 더보기
(주)나온테크 병렬링크로봇, 자동화시스템 통해 본격 시장진출 병렬링크로봇 출시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던 (주)나온테크가 차별화된 로봇시스템으로 본격적 시장진출을 선언했다. 반도체 웨이퍼 이송 로봇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쌓아왔던 노하우를 병렬링크로봇 시스템에 적용하면서 전·후 공정의 전문성을 더욱 높인 것이다. (주)나온테크 병렬링크로봇의 필드 적용이 시작된 시점에서 이들이 거둔 성과를 본지가 살펴봤다. 취재 신혜임 기자(press4@engnews.co.kr) (주)나온테크 김원경 대표이사 국산 병렬링크로봇의 대표주자로 떠오른 (주)나온테크가 다양한 실험적 어플리케이션에서 탁월한 기술력을 과시했다. 병렬링크로봇을 중심으로 한 로봇시스템 구축에 경쟁력을 발휘하며 그들만의 마켓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병렬링크로봇의 출시로 새로운 시장을 만나게 되면서 우리가 그동안 쌓아온.. 더보기
(주)나온테크, 병렬링크로봇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다 (주)나온테크 김원경 대표이사 Q. (주)나온테크의 병렬링크로봇에 대해 소개해달라. A. 지난 해 개발을 완료해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병렬링크로봇 Delta Fly™는 (주)나온테크의 오랜 연구·개발 끝에 탄생한 제품이다. 로봇은 Parallel Link 3세트를 통해 X, Y, Z 모션을 구현하며, 산업 현장의 생산성을 위한 고속성을 실현했다. Q. Delta Fly™은 어떤 현장에 주로 적용되고 있나. A. 병렬링크로봇은 식품, 약품, 화장품의 포장이송과 TSP, 휴대폰 패널, 솔라 셀 등 다양한 영역을 무대로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전과 접목해 컨베이어에서 불규칙적으로 이동하는 반송물의 이송에도 적용되고 있어 활용 폭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Delta Fly™ 역시 보다 많은 현장에.. 더보기
선진기술로 반도체 공정의 국산화를 이끄는 (주)나온테크 Q. (주)나온테크는 반도체와 관련해 어떤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나. A. (주)나온테크는 오랜기간 꾸준히 반도체 로봇과 자동화 모듈을 개발 공급해왔다. 반도체용 진공로봇과 EFEM 및 Backbone의 신뢰성을 양산라인에서 검증 완료하여 100여대의 System을 공급하였으며, 2014년부터 본격적인 양산 적용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Q. (주)나온테크는 진공로봇 분야에서 특히 기술력을 주도해왔다. 제품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A. 링크방식을 적용한 콤팩트한 사이즈와 고온상태의 대응 능력이 우리가 가진 장점이다. 대기환경에서 사용되는 벨트방식이 진공환경에서 가지고 있던 한계를 구조의 변경으로 대응한 것이다. 단순히 진공상태에서 이송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분명한 경쟁력을 갖고 갈 필요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