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뉴스

랑세스, K2013서 신제품 대거 선보여 지난 K2010에 이어 K2013 현장에서도 ‘고무의 거리(Rubber Street)’를 후원한 독일계 특수화학기업 랑세스는 ‘기술의 현장(Technology @ Work)’이라는 주제로 차세대 혁신 소재 및 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박람회에는 총 8개의 랑세스 사업부(플라스틱, 기능성 고무, 켈탄 엘라스토머, 라인케미, 고무약품, 부틸고무, 기능성 부타디엔, 무기안료)가 참가했으며, 특히 자동차 경량화를 실현하는 하이테크 플라스틱과 고성능 친환경 타이어 제조에 필수적인 고성능 합성고무, 바이오 기반 EPDM 고무 등 ‘친환경 이동성’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솔루션들이 대거 전시되었다. 랑세스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장하는 포칸®(Pocan) 신제품을 비롯해 첨단 전자제품 시장을 겨냥한 듀레탄®(.. 더보기
펌프분야의 독보적인 이름 Calpeda를 기억하라 - (주)더존시스템 ▲ (주)더존시스템즈 김기판 대표이사 Q. (주)더존시스템즈에 대한 소개A. 펌프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Calpeda의 공식대리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주)더존시스템즈는 품질에 맞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국내에 우수한 제품으로 공급해오고 있다. 빠른 납기와 최적의 서비스로 항상 고객만족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다. Q. Calpeda는 어떤 기업인가. A. Calpeda는 1959년 창립이래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 시험, 교육 등 많은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이어온 펌프분야의 세계적인 기업이다. 오랜기간 축적된 기술로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급수와 순환시스템 분야에서 원심펌프, 입(횡)형, 다단펌프, 장치펌프, 자흡펌프, 수중펌프 등의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은 세계적인 수준의 펌프회사이다.. 더보기
바이메탈 실린더, 스크루로 수명늘이고 걱정줄였다 - 멀티솔루션 ▲ 멀티솔루션 류수덕 대표 Q. 멀티솔루션에 대한 소개.A. 중국의 첸송사출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다양한 주변기기를 취급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브랜드 'TAN STAR'의 특수바이메탈 실린더와 스크루를 국내시장에 소개하면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Q. 'TAN STAR'의 실린더, 스크루는 어떤 특징이 있나.A. 텅스텐 합금이 다량 첨가된 제품이라는 점이 가장 큰 경쟁력이다. 실린더와 스크루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마모나 부식에 대한 걱정을 덜어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렸다. 이미 세계적인 기업에서도 애용하고 있을 정도로 품질이나 가격이 안정된 제품이다. Q. 세계적인 명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시장에서는 아직 브랜드가 낯설다는 생각이 드는데.A. 본사가 대만에 있다보니 국내 소비자들이 쉽게 마음을 열지 .. 더보기
사출성형기 유저의 합리적인 선택 `현대산업기계` 현대산업기계 이능우 대표 Q. 귀사에 대한 소개.A. 25여 년간 사출성형기 업계의 엔지니어로 근무했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난 1995년 처음 창업한 현대산업기계는 사출성형기에서부터 주변기기까지 아우르며 고객들에게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사출 시스템 선택을 도와드리고 있다. Q. 귀사의 서비스 영역에 대해 소개하자면.A. 중고 사출성형기 및 주변기기까지 아우르며 제품 A/S 및 판매, 매입, 교환 등을 하고 있다. Q. 귀사의 장점은 무엇인가.A. 항상 고객에게 정직하고 좋은 제품을 공급한다는 마음으로 사업을 영위해왔다. 이에 따라 높은 고객만족을 실현하고, 이로 인해 한 번 거래했던 고객들의 재구매율이 높아 안정적인 경영을 자랑하고 있다. Q. 귀사의 향후 비전은.A. 지금과 같이 꾸준히 정직을 기본으로.. 더보기
내가 찾는 베어링 `시민`에서 찾는다! - 시민베어링 ▲ 시민베어링 윤익중 대표 Q. 시민베어링에 대한 소개A. 시민베어링은 베어링, 컨베이어, 파워롤러 등을 취급하는 업체로 국내/외 우수한 제품을 공급함은 물론이고 주문 생산까지도 대응하고 있다. 오랜 실무경험을 갖추고 있어 고객의 다양한 주문사항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현장의 환경이나 조건을 고려한 최적의 제품을 납품해 온 것이 우리의 경쟁력이다. Q. 주 취급 제품은 어떤 제품인가.A. THK LM SYSTEM, TSUBAKI, 유니트 베어링 파워롤러, 명국 베어링, 컨베이어 롤러 등을 공급하고 있다. 어떠한 조건, 어떠한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들을 갖추고 있어 까다로운 고객의 눈높이에도 자신있게 대응한다. Q. 고객에게 하고 싶은 말A. 항상 믿고 찾아주신 고객들에 먼저 감사의 .. 더보기
SV테크, 지사 설립 및 신제품 출시로 시장공략 가속 지난 2011년 본지를 통해 소개된 바 있던 SV테크는 로봇의 에러가 없으면서도 신속한 Tool 교체가 가능한 오토 툴 체인저(Auto Tool Changer) 및 무한 회전이 가능한 스위벨(Swivel) 등 로봇을 사용하는 엔드유저의 입맛에 꼭 맞는 혁신적인 제품들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동사가 이후 클램핑 시스템을 거쳐 최근에는 초경량 그리핑 시스템까지 확보하며 로봇 Tool 과 관련된 풀 라인업을 갖춰 새로운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취재 정대상 기자(press2@engnews.co.kr)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하고 기존 로봇 시스템에 제반된 문제점을 해결해 온 SV테크가 대구에 새로운 둥지를 틀며 고객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갔다. 설립된 이래 국내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혁신적인 로봇 Tool들.. 더보기
아이디어로 미래를 여는 기업 ‘아이셀텍’ 일본 장인의 혼이 담긴 펀칭머신 기술, 한국에서도 이어갈 것! 반도체, 액정 관련 고정밀도 타발 장비 제조업체인 일본 기업 아이셀이 2010년 경상북도 경산 진량공단 내에 ‘아이셀텍 주식회사’를 설립하며 한국에서의 본격적인 제조, 판매에 들어갔다. 이는 보다 급증하는 한국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동시에 국내 생산을 통한 가격경쟁력도 높이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13년 하반기에 다양한 전시회 참가를 앞두고 있는 아이셀텍 주식회사가 앞으로 어떤 마케팅 전략으로 국내 고객들에게 어필할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취재 문정희 기자(press3@engnews.co.kr) 아이셀텍, 프레스 장비의 명가 ‘아이셀’의 정신을 이어받다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펀칭머신으로 국내에 오.. 더보기
고객의 요구에 대한 ‘유창’한 해결책 유창산전(주) 로봇의 도움이 필요한 현장을 끊임없이 발굴하며 최적의 로봇제품을 공급해온 유창산전(주)은 특히 국산 로봇을 현장에 도입하는 데에 앞장서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국산 기술력이 세계의 로봇시장을 이끌 그날을 위해 조금이라도 기여하겠다는 유창산전(주). 현장 가까이에서 로봇 사용자들과 마주하고 있는 그들을 만나 로봇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취재 신혜임 기자(press4@engnews.co.kr) 검증된 로봇 제품들이 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현장을 찾아 로봇보급에 앞장서온 유창산전(주)이 기술력과 서비스를 통한 고객만족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기업의 대형 공장을 위주로 공급되던 로봇제품을 점점 다양한 현장으로 접목해나가면서 로봇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도 이젠 현장에서 로.. 더보기
작지만 강한 소형모터 전문점 - 성신테크 ▲ 성신테크 김동일 대표 Q. 성신테크에 대한 간단한 소개A. 에스피지 모터의 대구경북 대리점인 성신테크는 다양한 현장에 사용되는 소형모터를 전문적으로 취급해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기업이다. 소형모터가 적용되는 많은 현장에서 모든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Q. 성신테크만의 경쟁력이 있다면.A. 20여년간 소형모터만 취급하면서 많은 노하우가 축적되었다는 점이 성신테크의 경쟁력이다. 경험이 쌓이면서 각 현장에 맞는 맞춤형 대응을 하고 있으며 최적의 효율을 위해 고객과 함께 고민해온 노력에 고객들도 만족을 표하고 있다.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적인 상담이 가능할 정도의 기술력도 갖추고 있어 자신있게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Q. 앞으로의 계획은.A. 최적의.. 더보기
탄소섬유 강화 열가역성 플라스틱 개발 NEDO 프로젝트에 의해 도쿄대학, 도레이, 미쯔비시 레이용, 토요보, 다카기세이코 등의 그룹은 가열하면 성형하기 쉽게 되는 열가역성 수지를 이용한 아주 새로운 “탄소섬유 강화 열가역성 플라스틱(CFRTP)”의 개발에 성공했다. 기존 탄소섬유 강화 열경화성 플라스틱(CFRP)으로는 곤란했던 고속 성형가공 및 높은 범용성을 가진 접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양산차에 사용할 수 있는 있으며, 차체의 경량화(현행 대비 30% 정도) 및 에너지 소비 저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높은 강도와 상당히 가벼운 특성을 가진 탄소섬유는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을 일본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선진 소재이지만, 에폭시 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와 일체화한 CFRP는 설계가 어렵다는 점, 금속과 같은 균질 재료가 아니라는 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