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뉴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외주 없는 100% 자체 생산으로 품질의 격을 높여 외주 없는 100% 자체 생산으로 품질의 격을 높여가스켓 및 팩킹 분야의 토털 종합메이커 우주가스팩공업(주) ▲ 우주가스팩공업(주) 회사전경 부산 진구에 위치한 우주가스팩공업(주)(이하 우주가스팩공업)은 가스켓 및 팩킹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회사로서 비석면 가스켓에서 고무유니온 박킹까지 전제품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 본지는 우주가스팩공업 박세호 회장의 외아들, 박규병 대표이사가 회사 경영을 맡음으로써, 2세 경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우주가스팩공업을 찾아가 그들의 경쟁력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보았다. 취재 김민주 기자(pressb@engnews.co.kr) ▲ 박세호 회장과 박규병 대표이사 우주가스팩공업, 가스켓 및 팩킹 제조업계에 우뚝 서다 1982년 우주상공사로 문을 연 우주가스팩공업은 가스.. 더보기 ABB, 인간과 로봇의 협업을 실현하다 글로벌 로봇시장을 선도하는 ABB가 인간친화형 양팔로봇 YuMi로 로봇자동화 산업에 새로운 혁신의 빗장을 열었다. YuMi는 ‘너와 나’를 뜻하는 영어 ‘You and Me’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ABB측은 “YuMi라는 이름은 인간과 함께 일하며 끝없는 가능성을 창출한다는 의미로, 친근하고 편한 이름으로 고객에게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고 전했다. 제조용 로봇, 인간에게 한 발 더 다가서다인간과 로봇의 협업은 오래 전부터 로봇기업들이 고민해왔던 분야이다. 그간 제조업에서 사용되던 수직다관절 로봇의 경우, 빠른 속도와 강한 힘을 겸비했지만, 그만큼 안전성 부분에서는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특히 제조용 로봇 관련 안전사고는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수직다관절 로봇 어플리케이션 현장에는 반드시 안전펜스가.. 더보기 큐렉소(주), FDA승인 받은 로보닥으로 본격 비즈니스 돌입 Q큐렉소(주)에 대한 소개. A큐렉소(주)(이하 큐렉소)는 인공관절 수술로봇인 로보닥(ROBODOC)의 연구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서 현재 국내를 비롯한 세계 시장에 첨단 의료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2011년 9월에는 (주)한국야쿠르트가 로보닥이 지닌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인정하여 9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감행, 큐렉소의 지분 및 BW를 인수한 최대주주로서 본격적인 로보닥 사업의 기틀을 마련했다. 큐렉소(주) 이재준 대표이사 Q로보닥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 A로보닥은 1980년대 중반, 미국의 수의사인 Howard Paul 박사와 정형외과 의사인 William Bargar 박사가 공동으로 창안해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후 1986년 IBM(International Busin.. 더보기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시스템 시연회 개최 로봇융합의 색다른 바람이 불고 있다. 로봇세상 도래를 위한 로봇 영역 확장의 움직임이 최근 막을 올린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선보여진 것이다. (주)이디와 경일디자인앤텍, 한국뮤지컬협회, 설앤컴퍼니가 참여한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시스템을 활용한 뮤지컬 동적무대 적용 검증사업’의 첫 결과물이었다. 이에 본지에서는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시스템 시연회를 찾아 현장을 취재했다. 지난 1월 9일 서울 예술의 전당 무궁화홀에서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시스템 시연회’가 펼쳐졌다. (주)이디(이하 이디)와 경일디자인앤텍, 한국뮤지컬협회, 설앤컴퍼니가 함께 추진하는 ‘스테이지 플라잉 로봇시스템을 활용한 뮤지컬 동적무대 적용 검증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로봇업계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한 걸음이라는 평.. 더보기 “수술로봇, 정확도와 최소침습, 그리고 비전의 발전이 핵심!” Dr. Devin M.Garzar는 저명한 산부인과의이자 부인과 로봇 수술 분야의 권위자이다. 특히 2013년 단일공 로봇 자궁적출술을 최초로 시행하기도 한 그는 유저의 입장에서 수술로봇의 필요한 점을 제언하며 다빈치 로봇 시스템 제조사인 인튜이티브서지컬과 함께 로봇수술분야의 볼륨을 넓히는데 공헌했다. 본지에서는 그를 만나 유저가 필요로 하는 로봇수술에 대해 들어보았다. Q. 의료로봇 개발에 있어 의료진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A. 수술을 잘하기 위한 공동목표를 위하여 의료인과 엔지니어가 같이 현재 기술의 제한이 무엇인지를 이야기 한다.특히 엔지니어들은 실제 사용자인 의료진들이 의료로봇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정말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논의를 한다. 복강경 기구의 한계.. 더보기 검증된 데이터로 로봇수술을 선도하는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유)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 손승완 부사장 Q. 인튜이티브서지컬에 대한 소개.A. 인튜이티브서지컬은 1995년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됐고, 1999년 최초로 다빈치 로봇 시스템을 상용화했다. 1999년 1월 출시된 다빈치 시스템은 2000년에 로봇 수술 시스템으로는 최초로 일반 복강경 수술용으로 FDA 승인을 받았다. 이어 2000년 6월 성공적으로 기업공개를 완료했고, 이후 지난 2012년 1월, 한국법인이 설립되었다. Q.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유)(이하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가 설립된 배경은 무엇인가.A. 인튜이티브서지컬의 생산이나 영업활동은 대부분 미국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 세계에 설치된 다빈치 로봇 시스템이 대략 3,000여 대이며, 그 중 한국에 설치된 다빈치는 47대가량이다. 높지 않은 판매량에도 불.. 더보기 화학경제연구원, 화학산업 위기진단 및 유망사업 발굴 세미나 개최 셰일가스와 셰일석유가 본격적으로 미국 화학업계의 비즈니스모델이 되기 시작하며 발발된 국제 유가 하락은 국내 화학업계에 있어서도 좌시할 수 없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학경제연구원은 우리 석유화학업계의 위기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뜻 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석유화학업계의 위기 극복 위한 세미나 개최화학경제연구원이 글로벌 유가 하락과 더불어 타격을 받은 국내 석유화학업계에 위기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취지에서 ‘화학산업 위기진단 및 유망사업 발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화학경제연구원 박종우 원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스페셜티 화학산업 진단 및 유망 신규사업 제시(화학경제연구원 서경선 상무) ▲석유화학 위기 진단 및 출구전략 제안(화학경제연구원 김은지 수석연구원) .. 더보기 이플랜의 기술 자체가 온라인 통합에 필수적인 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과 표준화를 기반 이플랜 엔지니어링 총괄 김홍열 부장 Special Reportⓛ / 제조자동화의 새로운 트렌드 IoT와 Industry 4.0 2015년 제조 산업을 뒤흔들IoT(Internet of Things)와 Industry 4.0! "이플랜의 기술 자체가 온라인 통합에 필수적인 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과 표준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더스트리 4.0의 실현을 위한 기반 기술이야"앞으로, 제조 업계는 표준화를 위한 전쟁이 가속화될 것 이플랜은 전기 설계 플랫폼 및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서 Eco System의 중심적인 위치에서 부품기업과 완제품 기업 사이에서 표준화와 통합 솔루션을 지원한다. - Industry 4.0 기술 동향 및 인더스트리 4.0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이플랜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설명.. 더보기 20년 내공으로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꾸리는 ‘이성’ 로봇과 연계한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꾸리는 이성주식회사가 기존 SI사업과 더불어 로팩시스템, 랜덤제함기, Auto Chip Collector, Auto Tip Changer 등의 자체 아이템을 통해 최근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아직은 초기진입 단계이지만 기존에는 없던 신기술, 신제품이기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본지는 지난 ‘금속산업대전 2014’에서 새로운 아이템을 홍보하는 이성주식회사를 만나 최근 근황을 들어보았다. 취재 문정희 기자(press3@engnews.co.kr) 이성주식회사 박상규 이사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으로 로봇 자동화 시스템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성주식회사(이하 이성)가 기존에 주력하던 로봇시스템 사업과 더불어 최근 새롭게 개발한 아이템들.. 더보기 Hybrid Servo Drive System 전문기업 ‘S&D Corporation’ 에너지 절감에 대한 이슈가 갈수록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S&D Corporation이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서보 드라이브 시스템은 플라스틱/고무 사출기/공작기계/프레스 및 기타 산업계에 전기 절약의 해결사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에 위치한 동사는 최근 뛰어난 품질과 낮은 가격을 장점으로 한 서보시스템을 선보이며 플라스틱 산업을 공략하고 있다. 최신 트렌드에 앞서가는 S&D Corporation의 서보시스템을 본지가 살펴보았다. 취재 문정희 기자(press3@engnews.co.kr) S&D Corporation, 고객 요구에 의한 서보시스템을 만들다 고품질의 유공압 시스템 설비와 관련 부품들을 국내에 공급해온 S&D Corporation이 최근 ‘하이브리드 서보 드라이브 시스템(Hybrid Ser.. 더보기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93 다음